[출처 : http://www.dt.co.kr/contents.html?article_no=2009033002011832740002] [알아봅시다] LED 백라이트유닛 김영은 기자 link@dt.co.kr | 입력: 2009-03-29 21:18 얇아진 두께ㆍ또렷한 화질 LCD패널 광원으로 '각광' 소비전력 절감ㆍ긴 수명 '친환경적' 노트북 패널 시장 폭발적 성장예상 발열문제ㆍ렌즈변형 발생 해결과제 휴대전화와 노트북PC, 휴대용게임기 등 액정디스플레이(LCD)를 사용하는 제품을 일상생활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시대가 됐습니다. 최근 삼성전자가 LED TV라는 새로운 카테고리의 제품을 출시해 눈길을 모으고 있기도 합니다. 보통 LED(발광다이오드)는 빛을 내는 반도체로 알려져 있는데, LED TV라고 하니 ..
[출처 : http://www.zdnet.co.kr/ArticleView.asp?artice_id=20090329164921] '프리미엄 브랜드' 애플에 대한 MS의 공세 [지디넷코리아]일주일전 지디넷 편집국. 동료중 한명이 심각한 표정으로 인터넷 쇼핑몰을 기웃거린다. 며칠째 그러고 있다. 들어보니 애플 '아이팟터치'를 너무 사고 싶은데, 돈이 모자란다는 것이다. 별 생각없이 알아서 하라고 했는데 며칠 뒤 동료가 다가와 웃으면서 말한다. "아이팟터치 샀어요~~" 30만원쯤 투입해 중고를 구입했는데도 그의 표정은 며칠전과는 사뭇 달랐다. 만족감이 대단해 보였다. 역시 별 생각없이 "축하한다"고 말해줬다. 싸다고 해도 꼭 필요하지 않으면 물건을 사지 않는, 그래서 마케터들이 매우 싫어하는 소비 성향을 가진 ..
[출처 : http://www.ebn.co.kr/news/n_view.html?kind=cate_code&keys=EL&id=370445] 전자사전, 종합 선호도는 ´아이리버´, 사전기능은 ´샤프´ 2009-02-23 16:12:58 국내 시판되는 전자사전 중 가장 선호도가 높은 제품은 ´아이리버´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전자사전의 기본 기능인 ´사전의 충실함´에 있어서는 ´샤프´가 가장 높게 평가받았다. 전자사전 전문 커뮤니티 DICKO(www.dicko.co.kr)는 커뮤니티 유저 75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응답자의 29%가 가장 선호하는 전자사전 브랜드로 아이리버를 꼽았다고 23일 밝혔다. 2·3위는 에이트리와 샤프로, 각각 23% 및 22%의 응답률을 보였다. 아이리버는 디자인..
아래 글은 뉴욕타임즈에 실린 글에 대해 애플 매니아의 한 분께서 쓰신 글이다. 나도 많이 동감하는 부분이다. 물론 나는 애플매니아도 아니고, 애플 기기를 단 한번 빌려서 써본 사람일 뿐이다. (뭐~ 사실 나도 애플제품을 써보고 눈이 휘둥그레지긴 했지만.. 돈이 없어서... ㅋㅋ) 단지.... 사람들을 애플제품에 매료시키고, 나아가 유료화 시장을 열었으며, 더 나아가 사람들의 인식을 바꿔논 것 자체가 대단하다는 거다. 즉, 저렇게 큰 블루오션 또는 거대한 마인드를 차근차근 실행해옮긴다는 것... 그게 정말 부러울 뿐이다. 우리나라도 저런 사업을 할 수 있을까??? 몇개월만에 "저기 저런 사이트보다 잘 만들어주시면 되요~" 같은 어림 반품어치도 없는 인간들이나 좀 줄어들었으면 싶다!!! ㅡ.ㅡ; 근데... ..
역시 애플이 물건이긴 물건이다. 애플의 제품으로 인해 사회전반적으로 이슈가 생기는 걸 보면.... 이런 제품을 만들어야 할텐데... 아니 이런 생각으로 사업을 해야 할텐데... 다만.... 저런 걸 그대로 따라만 하지 않는다면야.... ㅡ.ㅡ; ------------------- [출처 : 전자신문 : http://www.etnews.co.kr/news/detail.html?id=200903030181] 아이폰으로 인터넷에 접속하는 트래픽이 미국 전체 모바일 인터넷 트래픽의 66.61%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이크로소프트(MS)의 윈도 모바일을 탑재한 휴대폰으로 인터넷에 접속한 트래픽은 6.91%에 불과했다. MS가 PC 운용체계(OS)에서 90%에 육박하는 점유율을 보이는 것과 달리, 모바일 O..
[출처 : 지디넷코리아] 추현우굿글(GOODgle.kr) 블로그 운영자 fineapple@tgrape.com [지디넷코리아]10여 년 전, 대학 졸업반이었던 필자는 모 제지 업체에 취직한 적이 있다. 공대 출신인 터라 신입사원 연수 후 지방의 제지 공장으로 발령을 받았는데, 당시 사회 분위기는 '사무전산화'니 '종이 없는 사무실'이니 하는 구호가 넘치면서 제지 산업이 곧 사라질 사양 산업으로 비칠 때였다. 그런 분위기에 휩쓸린 탓인지 필자는 발령을 거부하고 대학원에 진학했다. 사양 산업은커녕 PC 보급과 함께 종이의 쓰임새가 더욱 늘이나 유망 산업으로 발전한 지금의 제지 산업을 보면, 당시 세상 물정 모르던 철부지 학생이었던 필자의 선택이 조금 후회되기도 한다. 필자를 포함해 IT에 대한 식견이 높은 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