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서비스기획 및 PO & PM

[스타트업에서 초보 PO가 겪는 10가지 상황] 5. 데이터 없이 기획을 해야 해요

by 쭈~~울 2025. 5. 1.
반응형

5. 데이터 없이 기획을 해야 해요

💬 “근거가 없어서, 그냥 감으로 기획해야 해요…”

(직감만으로 기획해도 괜찮을까?)

 


목차


    📍 상황 예시

    PO 데이븐은 ’프로필 개선 프로젝트’를 맡았다.

    문제는 사용자 로그가 거의 없고,

    데이터 분석 담당자도 없는 상황이었다.

    “지금 프로필 편집 기능, 얼마나 자주 쓰이죠?”

    “사용자가 어떤 필드를 가장 많이 건드리나요?”

    “그걸 몰라서, 일단 UX만 새로 디자인했어요…”

     

    결국 데이븐은

    사용자 행동 데이터를 참고하지 못한 채

    ’추정’과 ’직감’으로 기획을 시작할 수밖에 없었다.

     

    하지만 이럴 때일수록

    개발자, 디자이너, 경영진 모두

    “왜 그렇게 기획했는지”를 더 강하게 묻는다.


    🔍 왜 이런 문제가 생길까?

    많은 스타트업이나 초기 단계 팀은

    정량 데이터 기반 기획 환경이 마련되지 않은 상태다.

    • 로그가 쌓이지 않았거나
    • 애널리틱스 도구 도입 전이거나
    • 데이터 팀이 존재하지 않거나

    이럴 땐 PO가 혼자 ’답’을 만들어야 한다.

    하지만 그 ’답’이 객관적이지 않을 때, 설득력도 떨어진다.


    🧠 이렇게 풀 수 있어요

    ✅ 1. 정량이 없다면, 정성적 데이터를 모아라

    정량 데이터가 없다면, 사용자 목소리를 최대한 많이 모으자.

    • CS 문의 내용
    • 앱 리뷰
    • 사용자 피드백 설문
    • 커뮤니티 의견

    사용자 의견 시사점

    사용자 의견 시사점
    “사진 변경이 어려워요” UI 변경 기능 필요
    “이름 수정이 안 돼요” 필드 편집 허용성 개선

     

    ✅ 2. 팀 내부 인터뷰로 사용 흐름을 재구성하라

    • CS 팀: 가장 많이 받는 요청은?
    • 디자이너: 기억에 남는 사용자 인터뷰는?
    • PM: 이 기능을 왜 만들었는가?

    비공식 정보도 ’기획 방향’에선 유효하다.

     

    ✅ 3. 논리적 추정을 가능하게 하라

    “모르겠다”라고 말하지 말고,

    “이 기준으로 이렇게 가설을 세웠다”고 말할 수 있어야 한다.

    “로그인 사용자의 60%가 프로필을 수정하지 않는다고 가정하고,

    진입을 더 눈에 띄게 배치했습니다.”

     

    ✅ 4. 이후 로그 설계를 꼭 포함하라

    기획에 근거가 부족했다면,

    다음엔 그 근거를 쌓기 위한 로그 설계가 반드시 따라야 한다.

    이벤트 수집 목적

    이벤트 수집 목적
    profile_edit_click 편집 진입률 추적
    field_change_name 필드별 수정 빈도 파악
    profile_save_success 편집 완료율 추적

    💬 PO의 말 한마디

    “데이터가 없다고 멈추지 말자.

    대신 지금 우리가 할 수 있는 ’최선의 근거’를 만들자.”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