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경제, 경영, 자산 관련20

세이노(SayNo)님의 글모음 결혼 후 언제부터인지 재테크라는 말이 귀에 익숙해져버렸고... 재테크라는 것은 과연 무엇이며, 또 부자가 되려면 어떻게 해야하는가에 대한 의문이 생기면서 이런저런 글들을 찾게 되었다. 그러다 눈에 띈 것이 바로 세이노라는 분의 글이였다. 2000년부터 2001년까지 동아일보에서 연재한 그 분의 글을 뒤늦게나마 보면서 참 많은 것을 느낄 수 있었다. 그러다보니 저절로 동아일보 연재글 외에 더 없을까라는 생각이 들었고 찾다보니 다음카페에 "세이노의 가르침"이라는 카페를 보게 됐고, 그곳에서 그동안 세이노님이 올리신 동아일보와 이코노미스트, 그리고 카페에 올린 글이 한꺼번에 정리되어 있는 것을 보고 냉큼 퍼왔다. 글 모음이 좀 많아 시간은 걸리겠지만, 그래도 꾸준히 보면서 나의 미래의 부자된 모습을 그리며, .. 2009. 3. 18.
[스크랩]전세자금대출에 대한 프로세스 전세자금대출에 관해서 프로세스를 쉽게 적어놓은 글이 있어서 이렇게 스크랩하게 되었네요. ^^* 아웅~ 그나저나... 우리집도 년말에 이사를 가야할텐데... (-.,-) ----------------------------------------------------- [출처 : http://blog.daum.net/kazelnut/6051151] 이번에 전세자금 대출을 받으면서 알게된 프로세스를 몇자 적겠다. 전세자금 대출에는 1) 부부합산 소득이 2천만원 이하이고 중형차 이상을 소유하지 않은 무주택자가 신청 할 수 있는 연리 2%짜리 영세민 전세자금 대출 2) 근로소득 또는 사업소득(국세청 신고 금액)이 연 3000만원을 넘지 않는 (부부합산x) 연리 4.5%짜리 근로자.서민 전세자금 대출 3)소득이 3천.. 2009. 1. 19.
미네르바 글 모음 여기저기 찾다가 pdf로 되어있는 미네르바 글모음을 받았다. pdf라서 좀 보기 불편해서 txt파일로 변환하였다. 요즘 출퇴근하면 글을 읽고 있는데... 왜 미네르바에 사람들이 열광하는지... 이제서야 새삼 조금씩 알아가는 듯 하다... 미네르바 글을 읽으며, 한가지 뇌리에 깊숙히 박힌 그 말..... "닥치고 현금이다!" 2008. 12. 4.
미네르바 신동아 12월호 기고문 ---------------------------------------------------------- --------------------------------------------------------- ------------------------------------------------ ------------------------------------------------------- --------------------------------------------------- ---------------------------------------------------- ------------------------------------------------------ ----------------.. 2008. 12. 3.
[최진기의 실물경제] - 그대, 더이상 무식이 통통 튀고 싶지 않다면. 설명을 참 쉽게 해주시네요~ ^^* 대입 논술을 위한 강의이긴 하지만.. 한번쯤 들어볼만 한 듯 하다.~ ^^* 1. 한미 FTA 2. 서브프라임 모기지론 3. 한국경제 현황 리뷰 2008. 12. 3.
[기사] 보험료 다이어트 [출처 : 주간동아 :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POD&mid=etc&oid=037&aid=0000006478] [주간동아] 고객들의 재무상담을 하다 보면 우리나라 가계 재무구조의 문제점을 여실히 들여다볼 수 있다. 생활비나 자녀교육비의 과다 지출, 가계부채 가중 등 여러 가지가 있겠지만, 가장 큰 문제점은 보험과 관련된 항목에서 많이 나타난다. 고객들도 보험 관련 질문을 가장 많이 한다. 요즘 같은 경기침체기, 가계경제의 현금 유동성이 부족해지면 금융상품의 해약을 고려하게 된다. 그 가운데 보험을 1순위로 떠올리는 이들이 많다. 이는 보험 가입 과정에서 나타나는 흔한 문제점 때문에 더욱 그렇다. 각 가정에 적합한 상품이 무엇인지 총체적인 분석 없이 그때.. 2008. 11. 2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