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회사생활 속 용어14

📨 신입사원이 꼭 알아야 할 실무 이메일 표현 10가지 (F/U, FYI, TBD, ASAP, CC 등) 1. F/U (Follow-Up)📌 한국식 표현: 팔로업, 후속 확인📝 의미: 이전 내용에 대해 다시 한 번 확인하거나 지속적으로 관심 및 시행을 요청할 때 💬 예문“지난번 자료 전달드린 건 관련해서 진행 상황 팔로업드립니다. 확인 부탁드려요.”2. FYI (For Your Information)📌 한국식 표현: 참고용, 정보 공유📝 의미: 알아두시면 좋을 내용, 별도 대응은 필요 없음 💬 예문“FYI회의록 정리본은 팀 드라이브에 올려뒀습니다. 참고 부탁드립니다.”3. TBD (To Be Decided / Determined)📌 한국식 표현: 추후 확정, 미정📝 의미: 아직 확정되지 않은 상태 💬 예문“워크숍 장소는 TBD 상태이며, 확정되는 대로 다시 공유드리겠습니다.”4. ASAP (.. 2025. 5. 8.
부서별 핵심 실무용어 간략 정리 (인사 / 마케팅 / 회계/재무 등) 조직 내 다양한 부서들은 각기 다른 목적과 역할을 수행하며, 이에 따라 사용하는 용어도 자연스럽게 달라집니다.이 글에서는 회사 내 주요 부서인 마케팅, 인사(HR), 회계/재무 부서에서 자주 사용하는 핵심 실무 용어들을 정리하여, 부서 간 협업과 커뮤니케이션에 도움을 주고자 합니다.신입사원은 물론, 경력직에게도 유용한 정보가 될 것입니다. 마케팅 부서 핵심 용어 정리마케팅 부서는 브랜드 인지도 향상, 소비자 반응 분석, 캠페인 기획 등을 통해 기업의 가치를 높이는 부서입니다.이 부서에서는 외부와의 커뮤니케이션이 잦고, 다양한 지표와 전략 관련 용어들이 자주 쓰입니다. 가장 흔히 접하는 용어 중 하나는 KPI(Key Performance Indicator)입니다.이는 성과를 측정하는 핵심 지표로, 광고 클.. 2025. 4. 21.
사회초년생을 위한 회사 용어 정리 (초년생, 용어, 정리) 사회초년생이 회사에 처음 들어가면 익숙하지 않은 용어들 때문에 당황하기 쉽습니다.회의에서 날아다니는 줄임말, 메신저에서 등장하는 약어들, 선배들의 대화 속에서 오가는 전문적인 표현까지.이 글에서는 사회초년생이 꼭 알아야 할 회사에서 자주 쓰이는 실무 용어들을 정리하여, 업무에 빠르게 적응할 수 있도록 도와드립니다. 실무에서 자주 쓰는 기본 용어회사에 입사하면 가장 먼저 접하게 되는 용어들은 바로 실무와 관련된 기본 용어들입니다.예를 들어 '보고'는 상사에게 진행 상황이나 결과를 전달하는 행위이며, '컨펌'은 상사의 승인을 받는다는 뜻입니다. 이러한 용어는 단순한 단어 이상으로, 조직 내 커뮤니케이션의 핵심이 됩니다.또한, '업무 프로세스', '워크플로우', '결재라인' 같은 용어도 실무에서 자주 사용됩니.. 2025. 4. 21.
품의서, 보고서, 기안서, 시행문 회사생활을 하다보면 물품이나 비용을 집행해야할 건수들이 무진장 많다. 하지만... 늘 느끼는 거지만... 회사내에서 쓰는 문서 용어들은... 한자를 잘 모르는 나같은 사람 ㅠ.ㅜ 은 늘 헛갈리기 쉽상이다. 그래서 여기저기 찾아보다가 모든 걸 알고 있는 네이버(?)의 지식검색에서 잘 요약된 글을 찾게 됐다. 한번 읽어보면 쏙쏙 들어올것이다. 1.품의서(稟議書) 품의서는 간단히 표현하면 "어찌하오리까?" "인정해 주시렵니까?" 입니다. 예를들어 컴퓨터 한대를 구입하고 싶습니다. 이럴때 품의(상신) 하여 윗사람의 동의를 구하는 행위에 대한 서식입니다. 2.보고서(報告書) 보고서는 업무결과에 대하여 보고하는 서식입니다. 결재는 회사규정에 정한대로 득하면 됩니다. 3.기안지(起案紙) 기안지는 어떤 안건에 대하여 .. 2009. 6. 3.
p.s 와 c.f 의 의미 회사생활에서 메일을 주고 받는 일은 상당히 많은 부분을 차지한다. 회의를 잡을 때도 그렇고, 일을 주고 받을 때도 그렇고.... 암튼 하루에 메일을 사용하는 시간만 생각해보면 엄청날 것이다. (물론 스팸을 삭제하는 일을 포함해서.. ㅡ.ㅡ;) 이렇게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이메일 사용 중에 자주 볼 수 있는 말이 p.s 와 c.f 이다. 과연 저 두 줄임말에는 어떤 의미가 있을까? 1) p.s 추신은. Post Script의 준말. post란 접두어는 "~뒤" 라는 뜻입니다. Script는 "말"이라는 뜻이다. 그래서 뜻이 "(편지 ) 매 끝(뒤)에 붙이는 말" = 추신 이 된다. 2) C.F 란 .. 비교 또는 참조하다의 뜻으로 문장에서 예를 들때 괄호 안에 넣고 사용하는데 외국인들은 이 말을 자.. 2009. 5. 25.
RFP RFP는 Request For Proposal의 약자로, 보통 제안요청사라 칭한다. 발주기업이 선별된 업체에게 구축업체를 선정하기 위한 전단계로서, 사용자가 자사의 시스템에 대한 요구사항을 체계적으로 정리한 문서로서 공급업체가 제안서를 작성할 때 기본적인 자료로 활용한다. 어떠한 기업에서 새로운 정보기술을 접목해 시스템을 구축할 때 어떤 기술과 업체를 선택할 것인가 하는 점에 대해서는 제안요청서(RFP)와 제안서라는 연속된 절차를 통해 결정이 되는 경우가 많다. 체계적으로 RFP를 작성하는가에 따라 제안서의 품질이 결정되는가 하면, 프로젝트의 성공여부에도 큰 영향을 미친다. 2009. 5. 1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