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서비스기획 및 PO & PM11 💡 카피라이트(Copyright)의 의미와 제대로 표기하는 법 서비스기획 또는 웹기획을 하다보면,기획자들 사이에서도 스리슬쩍 모르게 그냥 지나치는 것들이 가끔 있다. 그 중에서도 카피라이트에 대한 표기는 대부분 제대로된 표기를 하지 않고 그냥 여기저기서 베껴서 하는 경향이 있기에이 참에 한번 글을 써보고자 한다. 목차✅ 카피라이트(Copyright)란 무엇인가?카피라이트(Copyright)는 저작권을 의미하며, 창작자가 만든 저작물을 복제하거나 배포, 전시, 공연할 수 있는 법적인 권리를 말한다.📌 즉, "내가 만든 콘텐츠는 내가 사용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는 권리입니다. 이 권리는 창작이 끝난 순간 자동으로 발생한다. 따로 등록하지 않아도 법적인 보호를 받을 수 있는 권리이다. 📝 저작권 표기의 기본 구조일반적으로 저작권은 아래와 같은 방식으로 표시됩니다:.. 2025. 5. 14. [스타트업에서 초보 PO가 겪는 10가지 상황] 10. 모든 걸 기획자가 조율해야 해요 10. 모든 걸 기획자가 조율해야 해요💬 “디자이너랑 개발자랑 말이 안 맞는데, 제가 조율할게요…”(그런데 이게 내 일 맞나?) 📍 상황 예시이번 스프린트에서 PO 데이브는‘회원가입 흐름 개선’ 기획을 맡았다. 회원가입 단계마다 UX 개선이 들어가고,디자인도 새로 입히며, 비즈니스 로직도 업데이트되는 복합 작업이었다. 그런데 막상 작업이 시작되자,디자이너와 개발자가 완전히 다른 이야기를 하기 시작했다.디자이너: “이건 플로우를 3단계로 나눠야 해요. UX 기준이에요.”개발자: “3단계면 인증 로직이 분리돼서 보안 문제 생깁니다.”회의는 20분 넘게 제자리걸음이었고결국 데이븐이 나섰다.“사용자 입장에선 실패 없이 가입을 마치는 게 핵심이에요.보안은 기술적으로 유지하고, UX상에 피드백을 주는 쪽으로 조.. 2025. 5. 11. [스타트업에서 초보 PO가 겪는 10가지 상황] 9. 디버깅은 PO가 하게 돼요 9. 디버깅은 PO가 하게 돼요💬 “테스트는 QA가 한다고 했잖아요…”(그런데 왜 또 내가 다 보고 있지?) 📍 상황 예시PO 데이븐은 “사용자 맞춤 알림 설정” 기능을 출시했다.기획도 잘 되었고, 디자인도 깔끔했고,개발팀도 일정 맞춰 작업을 끝냈다. QA팀은 테스트를 마쳤다고 했고,릴리즈도 무사히 진행됐다. 그런데 다음날부터 사용자 피드백이 쏟아졌다:“푸시 설정했는데 알림이 안 와요”“초기 설정값이 이상해요”“이벤트 알림은 되는데 나머진 안 돼요”결국 데이브는 직접 디버깅에 돌입한다.테스트 기기를 바꿔가며시나리오를 수십 번씩 돌려보는 자신을 보며 문득 생각했다:“QA는 뭐 했지? 왜 또 내가 다 하고 있지?” 🔍 왜 이런 문제가 생길까?디버깅은 PO의 일이 아니지만,현실에선 자주 PO가 맡게 된다.. 2025. 5. 9. [스타트업에서 초보 PO가 겪는 10가지 상황] 8. 기획은 했는데 구현이 어렵대요. 8. 기획은 했는데 구현이 어렵대요.💬 “이건 구조상 구현이 힘들 것 같아요…”(기획서엔 다 정리해놨는데… 왜 또?) 📍 상황 예시PO 데이븐은 ’마이페이지 개편 프로젝트’를 책임지고 있다.이번 개편의 목표는 “사용자가 본인 활동 이력을 명확하게 파악하고,관리 기능까지 스스로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었다. 그는 수일간 사용자 플로우를 그리고,예외 조건들을 조율하고,디자이너와 함께 와이어프레임도 완성했다.노션 문서는 완벽했다.기능 목록: 체크정책 정의: 예외까지 상세히데이터 흐름: UX 상에서 완벽하게 연결피그마 시안: 커뮤니케이션 용어까지 반영그리고 자신 있게 개발 리뷰에 들어갔지만,개발자의 첫 피드백은 예상 밖이었다.“이거 기존 마이크로서비스 구조에 안 맞아요.”“지금 설계된 흐름이면 기존 A.. 2025. 5. 8. [스타트업에서 초보 PO가 겪는 10가지 상황] 7. 운영 요청이 계속 쌓여요 7. 운영 요청이 계속 쌓여요💬 “이것 좀 고쳐주세요, 이건 추가되면 좋겠어요…”(근데 기획 일정은 이미 꽉 찼는데요…) 목차📍 상황 예시PO 데이븐은 다음 분기 주력 기능인 “추천 알고리즘 기반 콘텐츠 노출 기능” 기획을 진행 중이었다. 전사적인 목표에 포함된 핵심 과제였고,PM, 디자이너, 마케터까지 모든 인력이 이 기능을 중심으로 움직이는 상황이었다. 그런데 그 와중에도 슬랙 알림은 끊이지 않는다.운영팀, 고객센터, 마케팅팀에서 하루에도 수 차례씩 메시지가 온다.“지난주 쿠폰 등록 실패한 사용자 14명, 예외 처리해줘야 해요”“탈퇴 버튼이 너무 안 보인다고 해요”“이벤트 페이지 링크가 배너 클릭 시 잘못 연결되는 것 같아요”그중 일부는 사용자 불편을 야기할 수 있는 문제였지만,대부분은 단순 수.. 2025. 5. 5. [스타트업에서 초보 PO가 겪는 10가지 상황] 6. 릴리즈 했는데 사용자 반응이 안 좋아요 목차6. 릴리즈 했는데 사용자 반응이 안 좋아요💬 “이거 왜 이렇게 바꾼 거죠?”(출시 전엔 다 괜찮았는데…)📍 상황 예시PO 데이븐은 PO로서 그동안 기획해온 ‘홈 화면 개편’ 프로젝트를 드디어 릴리즈했다.팀원 모두가 고생했고,A/B 테스트도 했고,피그마 시안도 설득력 있게 정리했다.심지어 내부 회의에선“이번엔 진짜 잘 나왔다.” 라는 평까지 받았다.그런데 릴리즈 직후, 사용자 반응이 쏟아졌다.“기존보다 훨씬 불편해졌어요”“내가 쓰던 버튼이 어디 있는지 모르겠어요”“이전 버전이 훨씬 나았어요. 원래대로 돌려주세요”마케터는 난감해하고,디자이너는 자괴감에 빠지고,개발자는 “이거 롤백해야 하나요?”라고 물어봤다.데이븐은 속으로 되뇐다. “왜 이래? 우리 진짜 잘 만들었잖아…”🔍 왜 이런 문제가 생길까?.. 2025. 5. 2. 이전 1 2 다음 반응형